日本人韓国語学習者の発話に対する韓国人大学生の評価

DOI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How Korean University Students Evaluate Korean Speeches by Japanese People Learning Korean
  •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Majors and Non-Japanese Majors
  • 日本語専攻学生と非専攻学生の違い

抄録

본고는,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화를 한국인 대학생이 「わかりやすさ(알기 쉬움・이해력)」이라는 관점에서 어떻게 평가하는지 알아보고,「이해력」에 관한 대학생 평가 관점의 인과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중・상급 6 명)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평가 조사 데이터(최문희 2019)를 이용해, 본고에서는 평가자인 대학생을 일본어 전공 학생(46 명)과 일본어 비전공 학생(76 명)으로 구분해서 재분석했다. 분석 결과, 일본어 전공 학생은「언어적격성」「숙달도」「준언어」라고 하는 3 개 의 관점이, 일본어 비전공 학생은「말하는 방법」「언어적격성」이라고 하는 2 개 의 관점이, 학습자 발화의「이해력」평가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 요인 중에서도 특히, 일본어 전공 학생은「숙달도」가, 일본어 비전공 학생은「말하는 방법」이, 「이해력」평가에 크게 기인하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일본어 전공 학생의 평가 관점 중「언어적격성」은「숙달도」나「준 언어」와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또한「숙달도」는「준언어」와도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이해력」평가로 이어지는 것이 검증되었다. 더불어, 일본어 비전공 학생의 평가 관점인「말하는 방법」과「언어적격성」도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면서「이해력」에 관한 평가를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각각의 평가 관점이「이해력」평가에 직접 관여하는 것은 물론, 간접적으로도 (다른 평가 관점을 경유해서) 평가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収録刊行物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010292836633600
  • DOI
    10.24722/jaskle.15.0_5
  • ISSN
    24341142
    21886768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不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