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代朝鮮語の「副動詞+主題助詞」

DOI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日本語のテハとの対照―

抄録

현대 한국어에서는 부동사 뒤에 주제(topic) 조사 ‘-는/은’이 결합할 수 있으며 그 통합형은 여러 의미를 나타낸다. 그 중에서도 시간 관계를 표현하는 부동사는 주제 조사와 결합함으로써 다의성을 띤다.<br>  본 연구는 한국어의 ‘-고, -(아/어)서, -고서, -다가 + -는’과, 이 통합형들과 같은 구성을 가진 일본어의 -te=wa를 대상으로 ‘부동사 + 주제 조사’의 다의성을 의미지도(semantic map)를 이용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br>  본 연구에서는 ‘부동사 + 주제 조사’가 나타내는 의미를 반복, 습관, 역접, 연속, 조건(불가피, 현상, 판단, 명령・경고)로 나눈 다음에 의미지도를 그림으로써 각 통합형의 의미 차이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더 나아가 이 의미지도에 계기, 원인・이유를 더해 부동사가 나타내는 의미의 연속성을 제시하며 계기와 같은 시간적인 의미와 이유, 조건과 같은 논리적인 의미의 중간에 위치하는 의미로서 연속・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収録刊行物

  • 朝鮮語研究

    朝鮮語研究 9 (0), 91-120, 2022-02-22

    朝鮮語研究会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291767791269120
  • DOI
    10.50986/koreanlinguistics.9.0_91
  • ISSN
    24365661
    13472690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