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における英語起源借用語表記の類型研究

DOI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Adaptation types of English loanword orthography in Korean language

抄録

본 연구의 목적은 (1)영어 단어의 철자・발음과 한국어 표준어의 차용어 표기 사이에 존재하는 대응관계 및 (2)표기에 반영되는 영어의 변이형 (variety)을 밝히는 것이다. 말뭉치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영어 차용어 794 단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 차용어에서 주를 이루는 표기방식은 ‘음소표기’와 ‘철자표기’이며, 이 두 유형이 단순어 572 단어의 약 95%를 차지한다. ‘음소표기’란 영어의 음소 (phoneme)를 한글로 옮기는 표기방식이다. 기본적인 대응관계는 ‘외래어표기법’을 따른다. ‘철자표기’란 영어 철자의 문자소 (grapheme)를 한글로 옮기는 표기방식이다. 하나의 문자소를 하나의 표기로 옮기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c’의 구개음화를 반영하고 중자음 (geminate)을 반영하지 않는 등 부분적으로 영어 음운론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음소표기의 기준이 되는 발음을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중의 하나로 보기는 어렵다. 음운적인 면에서도 음성적인 면에서도 영국영어와 미국영어 두 변이형의 요소가 관찰된다. 기준이 되는 변이형에 따라 표기가 달라지는 단어는 단순어 음소표기 중에서 10%라는 무시할 수 없는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변이형에 따라 표기가 달라지는 발음은 ‘mask, glass, staff, sample’ 등에서의 모음과 ‘body, shot, box, doctor’ 등에서의 모음으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두 모음에만 주의하면 변이형에 따른 표기 차이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収録刊行物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565134843986816
  • NII論文ID
    130007826511
  • DOI
    10.24722/jaskle.13.0_5
  • ISSN
    24341142
    21886768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CiNii Articles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不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