ソウル方言の語中閉鎖音の知覚特性と音声指導

DOI オープンアクセス

抄録

본고는 서울말 어중 폐쇄음의 지각특성을 살펴보고,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음성교육과 관련하여 고찰한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밝혀진 산출시의 음향특성 중 변별효과가 큰 VOT와 폐쇄구간 길이를 조작한 합성음을 사용하여 서울방언 모어청자 34명을 대상으로 청취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산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음은 짧은 폐쇄구간과 짧은VOT, 경음은 긴 폐쇄구간과 짧은VOT, 격음은 긴 VOT로 지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음과 경음은 VOT보다 폐쇄구간이 우선적으로 지각에 사용되는 것이 로지스틱 분석에서 밝혀졌다.<br>  외국어의 발음교육에서 원어민의 발음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린 음성지도를 하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이것은 발화에 나타나는 특징이 지각에서도 그대로 쓰일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 것이지만 한국어의 어두 폐쇄음의 경음처럼 산출과 지각에 쓰이는 특징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음성지도를 위해 외국어의 음성을 분석할 때에는 산출뿐만 아니라 지각에서 쓰이는 특징도 같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収録刊行物

  • 朝鮮語研究

    朝鮮語研究 9 (0), 7-23, 2022-02-22

    朝鮮語研究会

関連プロジェクト

もっと見る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573242767985408
  • DOI
    10.50986/koreanlinguistics.9.0_7
  • ISSN
    24365661
    13472690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KAKEN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