芸能バラエティ番組における文字テロップの日韓比較 : 目的と機能による使用頻度を中心に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A Comparative Study of Subtitles in Entertainment TV Programs in Korea and Japan : Frequency of Use Considering Purpose and Function
  • ゲイノウ バラエティ バングミ ニ オケル モジ テロップ ノ ニッカン ヒカク モクテキ ト キノウ ニ ヨル シヨウ ヒンド ヲ チュウシン ニ
  • ゲイノウ バラエティ バングミ ニ オケル モジ テロップ ノ ニッカン ヒカク : モクテキ ト キノウ ニ ヨル シヨウ ヒンド オ チュウシン ニ

この論文をさがす

説明

화면이나 소리 등 , 기존의 시각적 , 청각적 자원에 의존하던 TV 방송은 영상 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그 영역이 점차 확장되면서 , 이제는 자막이나 시각 예술(visual art)등의다양한 영상 자원들이 TV 화면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 특히 한국과 일본의 경우 , 뉴스뿐만 아니라 드라마나 예능 등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자막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자막을 사용목적과 기능에 따라 귀납적으로 분류하고 , 각 사용목적별로 자막의 사용빈도를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입체적 분석을 위해 , 자막이 사용되는 방식을 민족지적 접근법을 통해서 기술하였다 .분석 결과 , 한국과 일본의 예능프로그램에서는(1)이해를 돕는 자막 ,(2)오락성 창출을 위한 자막 ,(3)이해를 돕는 자막에 오락적 요소가 가미된 통합형 자막이 사용되고있었다 . 자막의 전체적 사용빈도는 한일간에도 프로그램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다 . 다만 ,이번에 분석한 프로그램들의 경우 , 일본에서는 시청자의 이해를 돕는 자막이 전체의 90%이상을 차지했다 . 한편 , 한국에서는 이해를 돕는 자막 이외에 오락성 창출을 위한 자막과통합형 자막도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었으며 , 각 목적에 따른 자막의 종류나 사용되는방식 역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 전체적으로 일본은 이해를 목적으로 , 한국은 오락성 창출 목적으로 자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 가령 발화 자막의 경우 , 한국과일본 모두 높은 빈도로 사용되고 있지만 , 약간의 수정 또는 보정을 거치거나 발화 원본을그대로 제시하는 일본에 비해 , 한국에서는 오락성 창출이라는 목적을 위해서 전혀 다른형태로 편집하거나 각색하여 발화를 제시하는 경우도 많았다 . 특히 한국에서는 드라마나영화 대본처럼 , 발화 자막 앞에 발화자의 심경이나 의도 등을 지문처럼 제시하거나 , 은어나 속어 , 신조어 등 , 일본의 예능 프로그램에서는 전혀 사용되지 않는 용어들도 오락성 극대화의 장치로서 자막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

収録刊行物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