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学における日韓逐次通訳教授法

DOI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Teaching Method of Korean-Japanese Consecutive Interpreting at University
  • A focus on Japanese Native Speakers
  • 日本語母語話者を対象に

抄録

본고는 보고자가 2016 년도, 2017 년도, 2018 년도 및 2019 년도에 와세다대학교에서 담당한 “통역 한국어 ” 수업의 실천 보고서이다. 보고자는 수강생이 (1)통역에 대해 이해하고 (2)격식있는 표현과 경어를 습득하며 (3)한국어 능력을 보다 높은 수준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수업 목표로 설정했다. 목표(1)의 달성을 위해 다양한 통역 현장을 유사체험할 수 있도록 화제와 상황 설정의 다양성을 기했다. 자기소개와 같은 친근한 화제를 비롯하여 통역사, 한국 문화, 시사, 한일 관계, 의료 등과 관련된 화제를 다루었으며 공적 행사, 비즈니스 상담, 회사 설명회, 인터뷰, 좌담회, 병원 등의 다양한 상황을 설정했다. 특히 공적인 상황 설정을 통해 일상회화가 아닌 목표(2)의 격식을 갖춘 표현과 경어를 익힐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목표(3)의 한국어 숙달과 그외 통역 퍼포먼스의 향상을 위해 어휘력, 청취력, 순발력 등을 향상시키는 메모리 훈련, 퀵리스폰스, ST(시역)와 같은 통역 훈련법을 도입했다.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은 다양한 경험이 흥미로웠고 어려운 경어를 배울 수 있어서 수업이 많은 도움이 되었다는 등의 소감을 밝혔다. 학기말에는 한국어 실력이 늘었다고 스스로를 평가한 학생이 적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볼 때 수업 목표는 전체적으로 달성되었다고 생각한다. 최근 고급 수준의 한국어 학습자수가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통역 수업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보고자의 다양한 시도가 앞으로 한국어 교육에 있어 작게나마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キ

収録刊行物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858608253152896
  • DOI
    10.24722/jaskle.16.0_81
  • ISSN
    24341142
    21886768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不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