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交流学習の学習環境デザインに関する研究

DOI

書誌事項

タイトル別名
  • A Study on the Design of Learning Environment of Korean learning
  • Focusing on Report of Japanese-Korean Exchange Learning Using the Online system
  • オンラインシステムを利用した日韓交流学習の実践例を中心に

抄録

본 연구는 온라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류 학습에 적합한 학습환경 설계의 기준을 분석하고 그 유효성 및 개선점을 밝히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2020 년 5 월부터 8 월까지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언어 능력의 향상’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의 향상’, 그리고 ‘이문화 이해력의 향상’을 목표로 한일 교류 학습 환경을 설계하였다. 각각의 능력을 향상하는 방법으로 守屋 (2002)가 언급한 ‘사람’, ‘활동’, ‘도구’의 세 가지 기준으로 학습환경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학습 환경 디자인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방법으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람’, ‘활동’, ‘도구’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사람’에 대한 기준에서는 ‘공동체’, ‘교사’, ‘학습자’로 나누어 설계하였는데 이 세 요소 간의 유기적인 관계성이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특히 ‘교사’의 배치와 역할 분담이 중요시되며 이는 ‘교사’가 ‘학습자’에게 적절한 도움과 안내를 제공하여 학습을 촉진하는 스캐폴딩(Scaffolding)과 연관을 지을 수 있다. 그리고 ‘활동’의 기준에서는 ‘공동체의 활동’, ‘교사의 활동’, ‘학습자의 활동’으로 나누어 설계하였다. ‘활동’의 설계 면에서는 언어학습능력이 향상된 정도를 검증하는 것은 어려웠으나 다양한 활동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도구’의 기준으로 ‘공동체의 도구’, ‘교사의 도구’, ‘학습자의 도구’로 나누어 설계하였는데 특히 주제에 맞는 정보를 수집하여 학습 언어로 발표하는 데 필요한 정보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収録刊行物

詳細情報 詳細情報について

  • CRID
    1390858608253161728
  • DOI
    10.24722/jaskle.16.0_41
  • ISSN
    24341142
    21886768
  • 本文言語コード
    ja
  • データソース種別
    • JaLC
  • 抄録ライセンスフラグ
    使用不可

問題の指摘

ページトップへ